백상창 소장의 인사말입니다.

인사말

안녕하십니까.

한국사회병리연구소 백상창 박사입니다.

저는 지난 반세기동안 정신과 전문의사로서 정신분석학(psychoanalysis)의 방법론으로 한국인의 노이로제, 정신건강 문제를 다루는 일면,

44년간(1966~2010) 서울가정법원에서 이혼하려는 수많은 사람들을 조사(대법원 2급 공무원), 조정(조정위원) 해온 바 있습니다.

 

 

갑작스런 한국가정의 붕괴는 한국사회가 병들어 가기 때문임을 알게 되어 한국사회병리연구소(The Korea Social Pathology Institute, 1967~ )를 설립하였고,

신도성(서울대 정치학교수, 통일원장관),

기세훈(서울고등법원장),

이건호(고대 교수, 형법학),

김기두(서울법대 교수),

문상희(연세대 신과대학장),

김은우(이화여대 문학교수),

강만춘(중앙신학대 사회복지학교수),

백상창(정신분석학) 등 제씨(諸氏)가 모여 학제 간 연구를 진행해왔습니다.

 

 

가만히 돌이켜보면 우리는 1945년 해방 이래 서구문명을 도입하는 과정에서

급격한 근대화(1961~1970s),

급격한 민주화(1970s~1980s),

느닷없는 2000년 6․15선언 등을 하면서 쓰나미와도 같은 엄청난 사회변동을 겪어 왔습니다.

 

인간의 정신(mentality)을 미시적으로 관찰, 연구하는 정신분석학만으로는 충분치 못하다고 믿게 되었고, 인간의 삶의 환경을 다루는 정치학(politics, 1977~ ), 국제정치학(international relation, 1978~ )을 연구하게 되었고,

남북관계 특히 김일성, 김정일의 정신분석 정치학적(psychopolitics) 연구와 통일문제(통일원 연구위원 역임)를 다루어 왔던 것입니다.

 

 

결과적으로 엄청난 경제발전 등이 있은 반면,

(1) 전통정신의 붕괴와 사회적 아노미(anomie) [이유 없는 자살, 목적 없는 방황]

(2) 가정내 갈등(inter familial conflict)과 사소한 일로 개시되는 가정붕괴 현상(이혼)

(3) 자녀들의 인격원형 형성(the formative years)의 실패 [과잉보호, 애정결핍, 충동조절장애]

 

(4) 물질중독증(fetishism)과 각종 가치관의 실종 [존속살인 등 패륜행위]

(5) 모든 대상을 적(敵)으로 보는 과잉경쟁(over competition) [미칠지경의 스트레스]

(6) 부자, 기득권자, 학교선생님, 아버지, 전문가 등의 정당한 권위(justified authority)에 대한 적개심

 

(7) 모두가 모두에 대한 증오감(homo homini lupus) [묻지마 범죄]

(8) 기업가의 귀중한 기여는 외면하고 무조건 착취자로 보기

(9) 불안, 충동을 참지 못하기(unbearable impulse)

(10) 그리고 이 모든 일들의 결과에서 오는 집단적 노이로제와 정신병(folie a million)이 오고 있음을 보게 됩니다.

 

 

1960년대 이래 본격적으로 추진된 근대화는 세계최빈국이던 대한민국을 최단 시일에 10대 경제대국으로 끌어올리는데 성공했으나, 오랜 기간 전문가로서 분석해 볼 때 정신적으로는 한국사회가 일본의 대지진과 같이 붕괴 직전의 증후군(syndrome)을 나타내고 있는 게 확실합니다.

 

따라서 당연구소(한국사회병리연구소· 건강사회운동본부)에서는 근대화, 민주화, 6․15선언 등의 추진 과정에서 왜곡된 사회병리현상(social pathology)과 정신병리현상(psycho pathology)을 치유하고, 어떻게 하면 건강사회를 만들고, 국민들이 참 기쁨을 느낄 수 있을까 고민하여, 사회정신문화 교육을 위해 노력하고 있습니다. 

 

여러분들의 많은 이해와 참여 그리고 격려를 부탁드립니다.

 

 

의학박사  백상창

CONTACT US

고객센터 : 02-2694-9102

팩스 : 02-2601-1583

이메일 : webmaster@hmind.net

업무시간 : AM10:00 - PM 8:00

주소 : 서울시 강서구 마곡동로4길 23(마곡동 797-12) 루체브릿지호텔 3층 (301호)

www.hmind.net

대표 : 백상창

Copyright 한국사회병리연구소 All rights reserved